- 흙과 더불어 30년 ... 흙의 향기 - 신명범
- 흙의 정감과 인간적 아름다움 - 오광수 (미술평론가)
- 신명범 초대전에 - 이경성 (국립현대미술 관장)
- 신명범의 무위한 표현구조 - 신항섭 (미술평론가)
- 신명범 개인전에 - 프래드 마틴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 총장)
- 소박하고 따뜻한 원시 지향의 상형성 - 다기 데이죠 (미술평론가)





흙 그림을 그리며 창작해 온 지도 30년이 지났다.

30년전 미국 유학시절 샌프란시스코 아트인스티튜트에서 공부할때, 그때만 해도 한국 학생은 나 혼자 뿐이였는데 나는 유난히 한국에 가고 싶어 했던 것같다. 1970년 낯선 이국땅에서 유학 온 이방인 학생이면 누구나 겪는, 미국이라는 차가운 세멘트 문화에서 오는 향수 때문에 나는 가끔 학교 옥상에 올라가 앉아 저멀리 태평양을 바라보며 한국에 가고 싶어 힜었다. 그러던 어느날 문득 바다 건너 한국의 온돌방 생각이 았고, 장판지 밑에 흙냄새가 그리웠다.

겨울이 되면 모든 식구가 아랫목에 옹기 종기 모여 앉아 지내던 생각도 났고, 장판지 틈 사이에서 불개미들이 줄이어 나오면서 풍기던 흙 냄새가 그리었다. 그때 부터 나는 흙을 캔버스에 바르는 "흙그림" 작업을 시작했는데 그것이 벌써 30년이 지났다.

그때의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미국은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그리고 잔디뿐이었다. 마치 흙은 한국에만 있는것 같았고 그 흙의 정감과 소박함으로 굳어 있는 세멘트 문화에 도전화고 싶었다. 나는 점차 흙 속에 브드럽게 매혹되면서 미친듯이 흙을 캔버스에 발랐고, 1970년 학교 세미나에 처음으로 흙 작업을 발표했으나 모두 나를 이해하지 못했다. 그리고 1974년 서울에 와서 흙 작품으로 전시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30년이 지는 지금은 한국의 많은 화가들이 작품 재료로 흙을 사용하고 있으며 지금은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 미국에서도 많이 보급되어 있다. 30년전 나의미국 유학시절 너무나 고국이 그리워, 한국의 흙 냄새가 그리워 그림을 그리게 된 것이 "흙그림"의 시작이었던 것이다.

이번에 가나아트센터에서 전시할 작품 모두가 30년 전 미국에서 시작했던 흙그림으로, 자연의 신비속에 자연스럽게 묻히고 또다시 살아나는, 또다른 자연을 자유롭게 나태낸 작품들이다. 흔히 우르 주변에서 우리와 함게 같이 지냈던 것들 중에서 사람, 동물, 새, 물고기, 해와 달, 바람과 구름, 꽃 들이 나의 작품의 소재가 되어 흙을 통해 그려진다. 바람이 불면 구름이 어디론가 사라지고 또다시 태어나고 그러한 자연의 신비속에 묻히는 상상들이 만들어 내는 세계가 이번 전시할 작품이 될 것이다.

태어나고 또다시 살아나는 자연의 신비를.
나의 작품 속에 ...

나의 작품 속에 그려져 있는 사람이나 소, 닭, 새 꽃, 구룸이 가고, 해와 달이 있고 바람이 불고있고, 그럼 풍경들이 소재가 되어 검고 굵은 선으로 나의 네모난 공간 속에 머물게 된다. 흙과 더불어 같이 살아오면서 그림을 그리고 또다시 그 속에서 태어난다면 무엇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는지 ... 계속 이어지는 자연의 묘한 신비 그 끝없는 우주의 비밀이 무엇인지, 그 무한한 신비스러움에 관해 끝없는 상상을 하게된다.
언제부터인지 나의 작품 속엔 사람과 동물이 같이 태어나고, 사람이 새가되고 싶어지고, 닭이 소가되고, 반쯤은 각기 다른 것으로 태어나고, 강물이 바람이 되어, 가고 싶은 곳 어디든 갈 수 있다면 영원히 죽어 없어지는 것은 무엇인지 ...

그 모든 상상들을 나의 화폭 속에 담는다.
사람이 부서지고, 어디론가 가고 있는 기다림은 향기가 쏟아진 그늘에 만들기도 하고, 긴 그림자가 찢어질 때면 구름도 식어 가버린 향기를 다시 돌아가게 했고, 식어 가는 공원에 있던 하늘은 흔들렸고, 마지막 바다에 서있던 하늘에선 올것 같은 소식을 기다리게 했다.

나의 작품은 소재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모두 같이 모여 무엇을 암시하고 있으며 상징보다 내용을 앞줄에 세워놓고, 형태는 그대로 보여주면서 일정한 틀 속에 모인 주제가 말하고자 하는 소리를 표현하게 될 것이다.